'아동' 태그의 글 목록 :: 한국보육교사교육원

아동비만율 1.8%감소, 건강한 돌봄놀이터

Posted by 한보육
2019. 7. 9. 12:43 정책소식


보건복지부(장관 박능후)와 한국건강증진개발원(원장 조인성)은 2018년에 초등돌봄교실 이용 아동(초등학교 1~2학년)을 대상으로 영양·식생활 체험 및 놀이형 신체활동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건강한 돌봄놀이터’ (아동비만예방 사업) 사업을 진행한 결과, 아동 비만율이 1.8%p 감소하는등의 성과가 있었다고 밝혔습니다.

건강한 돌봄놀이터 사업이란?

건강한 돌봄놀이터는 아동비만예방 사업으로 보건복지부와 한국건강증진개발원이 2018년에 초등돌봄교실 이용하는 초등학교 1~2학년을 대상으로 영양식생활 체험 및 놀이형 신체활동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사업입니다.

작년 한 해 동안 전국 93개보건소, 305개 초등학교가 참여해 총 10542명 아동에게 영양,식생활 체험 및 놀이형 신체활동 프로그램을 제공했습니다. 그 결과 아동 비만율이 1.8% 감소하는 등의 성과가 있었습니다.

2018년에는 전국 93개 보건소, 305개 초등학교가 참여하여 총 1만 542명 아동에게 영양·식생활 체험 및 놀이형 신체활동 프로그램을 제공하였습니다.

* (ˊ17년) 23개보건소, 61개초교 2,354명→(ˊ18년) 93개보건소, 305개초교 10,542명 →('22년) 3,000개교, 10만 명(예정)

보건복지부 정영기 건강증진과장은 “건강한 돌봄놀이터 사업의 성과가 입증된 만큼 2019년에는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까지 대상을 확대하고, 프로그램 운영기간도 3개월에서 한 학기 운영으로늘렸다”고 전했습니다.

아울러 “아동 비만대책의 핵심과제로써 이 사업을 통해 성장기 아동들이 건강한 생활습관(올바른 식습관 및 신체활동량 증가 등)을 형성할 수 있도록 다양한 교육내용을 개발하고 프로그램의 질을 향상시켜나갈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2019년 아동비만예방사업 「건강한 돌봄놀이터」

건강한 아동기 성장환경 조성을 통해 올바른 식습관 형성 및 신체활동 증가 등 건강생활습관 정착 및 아동비만예방 실현

* 추진경과 : (‘16년) 8개 보건소, 10개 돌봄교실, 아동 248명 → (‘17년) 23개 보건소 61개 돌봄교실, 아동 2,357명 → (‘18년) 93개 보건소, 305개 돌봄교실, 아동 1만542명 → (‘19년) 102개 보건소, 402개 기관 참여 중

초등돌봄교실,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1∼2학년) 대상으로 영양 및 신체활동 교육 등의 비만예방 프로그램* 운영(’16.9월~)

* 구성 : 놀이형 영양 교육(24차시), 신체활동 교육(96차시), 비만도 측정 및 건강습관 평가

2018년 아동비만예방관리사업 「건강한 돌봄놀이터」성과

1. 사업 운영 현황

·도명

보건소 수

(개소)

참여 총계(개교, )

표준형(개교, )

활용형(개교, )

학교 수

아동 수

학교 수

아동 수

학교 수

아동 수

총 계

93

305

1542

280

9,147

25

1,395

서울특별시

5

17

554

17

554

0

0

부산광역시

16

50

1,179

50

1,179

0

0

대구광역시

1

5

203

5

203

0

0

인천광역시

3

7

306

7

306

0

0

광주광역시

5

18

573

18

573

0

0

울산광역시

3

13

418

13

418

0

0

경기도

21

92

4,372

74

3,143

18

1,229

강원도

6

18

415

18

415

0

0

충청북도

4

9

232

9

232

0

0

충청남도

9

23

693

21

653

2

40

전라북도

2

3

75

2

27

1

48

전라남도

2

7

198

7

198

0

0

경상북도

5

14

409

14

409

0

0

경상남도

5

14

372

10

294

4

78

제주특별자치도

6

15

543

15

543

0

0

※ 사업모형 : (표준형) 프로그램 프로토콜 준수, (활용형) 교육매체를 활용하여 지자체 여건에 맞게 운영

2. 프로그램 효과평가 결과
 ○ 아동의 비만율 현황
프로그램 참여 전후 과체중 비만만 아동 비율이 참여 전 20.3%에서 참여 후 18.5%로 약 1.8% 감소했습니다

구분

정상체중군 

과체중비만군 

계 

 사전

4,778(79.7)

 1,217(20.3)

5,995(100.0)

 사후

4,886(81.5) 

 1,109(18.5)

5,995(100.0)

Values are n(%).
※ 2017년 소아·청소년 성장도표에 의한 성별·연령별 체질량지수 백분위수 기준 적용함
(비만) BMI 95백분위수 이상, (과체중)BMI 85-95백분위수, (정상)BMI 5-85백분위수,(저체중) BMI 5백분위수 미만


○ 체질량지수 및 건강행태 변화

- 비만판정 지표인 체질량지수(BMI, Body Mass Index)도 참여 전 17.29kg/m2에서 참여 후 17.23kg/m2으로, 0.06kg/m2 감소했습니다.
- 영양지식은 참여 전 83.25점에서 참여 후 88.01점으로 4.76점 상승하였고, 식생활 태도 점수(100점 만점)는 참여 전 73.34점에서 참여 후 74.30점으로 0.96점 증가했습니다.
- 주당 중강도 신체활동 시간은 참여 전 778.15분에서 참여 후 969.31분으로 191.16분 증가했습니다. 중강도 신체 활동이란 평소보다 숨이 더 차는 활동으로 빨리 걷기, 자전거 타기, 배드민턴 연습 등이 속합니다. 주중 앉아서 보낸 평균 시간은 전 303.46분에서 참여 후 267.42분으로 36.04분 감소했습니다.

구분

사전

사후

변화

중강도 신체활동 시간()*

778.15±1032.75

969.31±1278.44

191.16분 증가

주중 앉아서 보낸 시간()*

303.46±299.18

267.42±277.31

36.04분 감소

영양지식 점수()*

83.25±18.47

88.01±16.65

4.76점 증가

영양행태 점수()*

73.34±16.89

74.30±16.89

0.96점 증가

체질량지수(kg/m²)*

17.29±2.87

17.23±2.94

0.06kg/감소

Values are Mean±SD, *P<.001


3. 사업관계자 프로그램 만족도 조사 결과
※ ‘매우만족’ 또는 ‘만족’, ‘매우 그렇다’ 또는 ‘그렇다’ 라고 응답한 현황임(5점 리커트 척도)

전체 응답의 83.6%가 프로그램에 만족한다고 답하였으며, 83.3%가 2019년에도 다시 참여하겠다는 의지를 나타냈습니다. 특히 학교 내 돌봄 담당 교사의 경우 프로그램 만족도 95%, 2019년 사업 재참여 희망률 91.7%, 다른 학교로의 확대 희망률 94.0%, 비만예방 및 건강증진의 도움 정도 88.4%로 높은 만족도를 보였습니다.

구분

학부모

(n=5,995)

학교관계자

(n=623)

보건소관계자

(n=381)

총계

(n=6,999)

전반적 프로그램 만족

82.3(4,933)

95.0(592)

85.0(324)

83.6(5,849)

ˊ19년 사업 재참여 희망

83.2(4,986)

91.7(571)

71.4(272)

83.3(5,829)

타 학교로의 확대 희망

82.7(4,962)

94.0(586)

79.3(302)

83.6(5,850)

비만예방 및 건강증진 도움

76.4(4,581)

88.4(551)

78.5(299)

77.5(5,431)

Values are %(n).


정부는 건강한 돌봄놀이터 사업의 성과가 입증된 만큼 2019년에는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까지 대상을 확대하고,
프로그램 운영기간도 3개월에서 한 학기 운영으로 연장했습니다.


[출처]보건복지부
https://blog.naver.com/mohw2016/221577787381
http://www.mohw.go.kr/react/al/sal0301vw.jsp?PAR_MENU_ID=04&MENU_ID=0403&CONT_SEQ=350008




사업자 정보 표시
한국보육교사교육원 | 곽상일 | 서울특별시 구로구 디지털로30길 28 1406~1407호 (구로동 마리오타워) | 사업자 등록번호 : 113-86-81322 | TEL : 02-1800-9337 | 통신판매신고번호 : 원격평생교육시설신고 제 원-383호호 | 사이버몰의 이용약관 바로가기

15세이하 아동과 장애인 의료비 지원절차가 편리해져요

Posted by 한보육
2019. 7. 3. 12:23 정책소식



- 의료급여의뢰서 없이 2·3차 의료기관 이용 확대 등 의료급여수급자 이용 불편 해소 -


보건복지부(장관 박능후)는 15세 이하 아동과 장애인의 의료급여 이용 절차를 개선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개정 의료급여법 시행규칙이 7월 1일(월)부터 시행된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법령 개정으로 1차 의료기관(의원)의 의료급여의뢰서 없이 2차 의료기관(병원)을 이용할 수 있는 아동 연령을 8세 미만에서 15세 이하로 확대하고, 이용시간대도 야간이나 공휴일로 한정하지 않도록 개선하였습니다.

이는 취학 아동이라도 보호자의 동반이 필요한 경우가 많고, 이용시간대를 한정함에 따라 집 근처 2차 의료기관을 두고도 1차 의료기관에서 먼저 진료를 받아야 하는 등 불편 민원이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기 때문입니다.
* 수혜대상 : 8세 미만 아동 수(‘18년) 4만 8000명 → 15세 이하 아동 수(’18년) 14만 4000명, ↑9만 6000명
** 15세 이하 아동의 연간 의료급여 총 진료비 현황(‘18년) : 425만 건 1,409억 원


또한, 장애인이 장애인구강진료센터를 이용할 때 장애인구강진료센터가 3차 의료기관이라 하더라도 2차 의료기관의 진료를 거치지 않고 바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장애인구강진료센터가 3차 의료기관인 부산·인천 지역 장애인수급자(5만 6000명)의 경우 2차 의료기관의 의료급여의뢰서 없이 곧바로 장애인구강진료센터를 이용할 수 있게 됩니다.
* 의료급여수급권자 중 장애인 수(‘18년) 43만 2000명, 장애인구강진료센터 이용자 수(‘18년) 1만 2000명
** 장애인구강진료센터 현황 : 10개소 (2차 의료기관 : 서울 등 8개소, 3차 의료기관 : 부산·인천 2개소)


아울러, 장애 등급을 장애 정도로 변경하는 내용 등으로「장애인복지법」이 개정됨에 따라 요양비지급청구서(산소치료), 장애인 보장구급여 신청서․처방전 등 관련 서식을 정비하였습니다.
한편, 건강보험과 동일하게 요양병원 입원 환자는 반드시 담당 의사로부터 의료급여의뢰서를 발급 받아 다른 의료급여기관을 이용하도록 개정하였습니다.
* 의료급여의뢰서 없이 다른 병원 진료 시, 전액 본인부담토록 하여 절차 준수 유도
보건복지부 임은정 기초의료보장과장은 “개정된 시행규칙 시행으로 아동과 장애인 등 최소 20만 명의 의료급여의 이용이 개선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며, 앞으로도 의료급여 보장성 확대와 함께 의료급여 이용의 접근성도 적극 개선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출처]보건복지부
http://www.mohw.go.kr/react/al/sal0301vw.jsp?PAR_MENU_ID=04&MENU_ID=0403&page=1&CONT_SEQ=349970

사업자 정보 표시
한국보육교사교육원 | 곽상일 | 서울특별시 구로구 디지털로30길 28 1406~1407호 (구로동 마리오타워) | 사업자 등록번호 : 113-86-81322 | TEL : 02-1800-9337 | 통신판매신고번호 : 원격평생교육시설신고 제 원-383호호 | 사이버몰의 이용약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