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동네 놀이터를 우리가 바꾸어볼까?
서울시,‘창의어린이놀이터’20곳 재조성…주민공모 방식 첫 도입
- 주민이 원하는 곳에, 원하는 놀이공간으로 주민과 함께 놀이터 20개소 재조성
- 어린이 포함 놀이터 이용주민 3~10명의 모임으로 신청 가능
- 2015년부터 현재까지 91개소 재조성, 올해 하반기에도 18개소 탈바꿈 예정
□ 우리동네 노후되고 개성없는 놀이터를 모험과 호기심이 가득한 놀이터로 바꾸고 싶다면 서울시 창의어린이놀이터 대상지 공모에 응모해보자. 서울시가 ‘우리동네 놀이터를 우리가 바꾸어볼까?’ 란 타이틀로 2020년 창의어린이놀이터 조성을 위한 대상지를 공모한다.
○ 지금까지 창의어린이놀이터는 관(官)에서 노후된 놀이터를 선정하여 재조성하였으나, 올해부터는 이용자들이 원하고 희망하는 놀이터를 개선하기 위해 대상지를 공모하고 아이디어를 수렴한다.
□ 공모는 7월 8일(월)부터 8월 16일(금)까지 40일간 진행되며, 1차 자치구 심사와 2차 서울시 심사를 통해 2020년 창의어린이놀이터 재조성 대상지로 선정되며, 발표는 9월 20일(금) 예정이다.
○ 해당 자치구에서 심사를 통해 최대 2개소를 선정한 후, 서울시의 2차 심사를 통해 20개소를 최종 선정할 예정이다.
※ 개소수는 공원의 면적 및 내용에 따라 변동될 수 있음
□ 응모는 어린이를 포함한 놀이터 이용주민 3~10명의 모임으로 신청가능하며, 공원 내 노후 어린이놀이터를 대상으로 바꾸고 싶은 이유와 어떻게 바뀌었으면 하는 의견을 글이나 그림으로 표현하면 된다.
○ 대상지는 모임 구성원들이 주로 이용하는 놀이터이어야 하며, 대상지로 선정되면 구성원들은 향후 놀이터 디자인 설계 및 자율 유지관리 등 ‘어린이 놀이터 운영협의체’ 활동에 적극 참여하게 된다.
□ 응모방법은 ‘서울시 홈페이지(http://www.seoul.go.kr) 고시공고’ 또는 ‘내 손안의 서울 공모전(http://mediahub.seoul.go.kr/ gongmo2)’에서 지원양식(공모제안서)를 작성, 8월 16일(금) 18시까지 이메일(lucid@ seoul.go.kr) 또는 해당 자치구 공원녹지과(푸른도시과, 녹색도시과)에 직접 제출하면 된다.
○ 접수와 관련한 자세한 내용은 서울시 홈페이지나 서울시 공원녹지정책과(☎ 2133-2037) 또는 자치구 공원녹지과(푸른도시과, 녹색도시과)로 문의하면 된다.
□ 창의어린이놀이터는 2015년 29개소(1단계)를 시작으로 2019년 현재 총 91개소가 재조성되었으며, 올해에도 14개 자치구에 18개소(5단계)의 창의어린이놀이터를 조성 중에 있다.
○ 창의어린이놀이터는 주로 인공포장과 단순한 놀이기구를 모아놓은 기존 놀이터와 달리 아이 인지발달에 좋은 모래, 흙, 목재 등 자연재료로 만들어진 공간과 뛰어놀 수 있는 공간, 모험심을 유발하는 공간을 유기적으로 설치하여 아이 스스로 놀이를 만들어내는 기회를 제공하여 창의력과 감수성 발달에 도움을 주는 놀이터이다.
○ 올해 준공예정인 창의어린이놀이터 18곳 가운데 17곳은 전액 시비(50억원)를 투입해 조성중이며, 나머지 1곳(강서구 다운어린이공원)은 민간기업이 사업비를 투입하여 민관협력으로 조성중이다.
□ 아울러, 서울시는 창의어린이놀이터 아동참여사업 확대를 위하여 초록우산 어린이재단과 협력하여 놀이터 조성과정부터 유지관리까지 아동의 놀 권리 향상과 프로그램 지원을 위해 노력할 예정이다.
○ 서울시와 초록우산 어린이재단은 창의어린이놀이터 조성과정에 아동참여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아동 및 부모 대상 교육 등 아동참여 사업을 지원하는 내용으로 7월 중 상호협력 협약(MOU)을 체결할 예정이다.
○ 또한, 올해 11월에 열리는 ‘서울시 어린이놀이터 국제심포지엄’도 서울시와 공동개최하여 아동놀이에 대한 사회적 인식 확산과 놀이터 정책 향상을 위한 지속 발전방안을 함께 모색한다.
창의어린이놀이터 추진 내용
2020년 창의어린이놀이터 추진계획(6단계)
○ 사업대상 : 자치구 공원 내 놀이터『20개소』내외(도시공원, 마을마당 등)
※ 지역특성, 규모, 예산 등 현장 여건에 따라 개소수 조정
○ 사업기간 : 2019. 6. ∼ 2020. 10.
○ 사업예산 : 6,000백만원 ※ 특별조정교부금 활용
○ 추진방법 : 시민공모와 민·관 협업으로 이용자 및 놀이중심 놀이터 조성
- 대상지 선정 : 시민공모를 통해 재조성대상지 선정
- 놀이터 조성 : 시민공모 스토리텔링을 통합디자인으로 발전
- 놀이터 관리 : 공모팀 포함 주민운영협의체 OT를 통해 자발적 관리방안 구축
※ 선정부터 관리까지 놀이터자문단, 총괄자문가(MA), 어린이재단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 자문
○ 추진일정
시민공모 | ➡ | 공모 심사 및 대상지 선정 | ➡ | 주민참여 통합디자인 | ➡ | 디자인 자문(2회) | ➡ | 설계자문(1회) | ➡ | 공사시행 |
′19. 6.~7. | ′19. 7.~ 8. | ′19. 9.~ 10. | ′19. 10.~ 12. | ′20. 1.~ 2. | ′20. 3.~ 10. | |||||
<6단계 신규 절차> |
|
|
|
|
|
|
|
|
창의어린이놀이터 추진실적
○ 추진기간 : 2014. 6. ~ 2019. 10.(1~5단계)
○ 조성실적 : 총 109개소(91개소 완료, 18개소 조성 중)
1단계 (’14.6.~’15.10) |
| 2단계 (’15.6.~’16.12) |
| 3단계 (’16.6.~’17.10) |
| 4단계 (’17.8.~’18.10) |
| 5단계 (’18.8.~’19.10) |
|
|
|
|
|
|
|
|
|
9개구 29개소 (민관협력 3개소) | | 13개구 20개소 (민관협력 2개소) | | 16개구 22개소 (민관협력 2개소) | | 16개구 20개소 (민관협력 2개소) | | 14개구 18개소 (민관협력 1개소) |
놀이터 조성 방향성 정립 주민참여 시스템 구축 | 놀이중심 놀이터로 콘셉트 변화 놀이터별 MA 자문운영 도입 | 창의어린이놀이터 가이드라인 적용 사후평가로 질적 수준 향상 | 한단계 도약을 위한 필요성 인식 놀이에 대한 인식변화 확산 | 누구나 놀이에 참여할 수 있는 통합의 가치 반영 |
2019년 창의어린이놀이터 준공예정지
○ 총 18개소(5단계) : 자치구 17개소(시비 50억), 민관협력 1개소(민간 전액 부담)
연번 | 자치구 | 놀이터명 | 위 치 | 재조성 면적(㎡) |
1 | 성동구 | 사근어린이공원 | 사근동 291-10 | 496 |
2 | 광진구 | 자마장어린이공원 | 자양동 630 | 800 |
3 | 동대문구 | 미나리어린이공원 | 장안동 449 | 1,000 |
4 | 강북구 | 푸른어린이공원 | 수유동 516-44 | 600 |
5 | 수유일공원 | 미아동 222-20 | 900 | |
6 | 도봉구 | 무지개어린이공원 | 도봉동 570-13 | 800 |
7 | 은평구 | 포수동어린이공원 | 응암동 115-25 | 800 |
8 | 마포구 | 양화어린이공원 | 합정동 394-1 | 1,200 |
9 | 양천구 | 하늘마루어린이공원 | 신정3동 1316-2 | 900 |
10 | 신세계어린이공원 | 신정2동 119-3 | 900 | |
11 | 강서구 | 안골어린이공원 | 화곡8동 155-1 | 1,500 |
12 | 다운어린이공원 (민관협력) | 화곡동 346-26 | 1,000 | |
13 | 구로구 | 고척근린공원 | 고척동 164-129 | 1,500 |
14 | 금천구 | 삼성체육공원 | 시흥4동 171-1 | 1,200 |
15 | 영등포구 | 영일어린이공원 | 영등포동 647-3 | 900 |
16 | 동작구 | 까치어린이공원 | 사당동 1028-1 | 1,500 |
17 | 새벽어린이공원 | 상도동 335-141 | 496 | |
18 | 강동구 | 방아다리어린이공원 | 명일동 236 | 1,500 |
[출처]서울시
http://mediahub.seoul.go.kr/archives/1242848?tr_code=snews
http://spp.seoul.go.kr/main/news/news_report.jsp#view/292746?tr_code=snews
'정책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9 개정 누리과정 확정·발표 (0) | 2019.07.24 |
---|---|
아이 낳고 키우기 좋은 지역사회, 지자체와 함께 만든다 (0) | 2019.07.24 |
여름방학에 고궁의 역사와 궁중문화 체험하세요 (0) | 2019.07.10 |
서울식물원 '어린이 식물해설사'를 모집합니다 (0) | 2019.07.09 |
혹서기 주말캠프, 돈의문아~ 여름을 부탁해! (0) | 2019.07.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