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태그의 글 목록 :: 한국보육교사교육원

우리동네 놀이터를 우리가 바꾸어볼까?

Posted by 한보육
2019. 7. 11. 12:15 정책소식


서울시,‘창의어린이놀이터’20곳 재조성…주민공모 방식 첫 도입

- 주민이 원하는 곳에, 원하는 놀이공간으로 주민과 함께 놀이터 20개소 재조성
- 어린이 포함 놀이터 이용주민 3~10명의 모임으로 신청 가능
- 2015년부터 현재까지 91개소 재조성, 올해 하반기에도 18개소 탈바꿈 예정

□ 우리동네 노후되고 개성없는 놀이터를 모험과 호기심이 가득한 놀이터로 바꾸고 싶다면 서울시 창의어린이놀이터 대상지 공모에 응모해보자. 서울시가 ‘우리동네 놀이터를 우리가 바꾸어볼까?’ 란 타이틀로 2020년 창의어린이놀이터 조성을 위한 대상지를 공모한다.
 ○ 지금까지 창의어린이놀이터는 관(官)에서 노후된 놀이터를 선정하여 재조성하였으나, 올해부터는 이용자들이 원하고 희망하는 놀이터를 개선하기 위해 대상지를 공모하고 아이디어를 수렴한다. 

□ 공모는 7월 8일(월)부터 8월 16일(금)까지 40일간 진행되며, 1차 자치구 심사와 2차 서울시 심사를 통해 2020년 창의어린이놀이터 재조성 대상지로 선정되며, 발표는 9월 20일(금) 예정이다.
 ○ 해당 자치구에서 심사를 통해 최대 2개소를 선정한 후, 서울시의 2차 심사를 통해 20개소를 최종 선정할 예정이다.
     ※ 개소수는 공원의 면적 및 내용에 따라 변동될 수 있음

□ 응모는 어린이를 포함한 놀이터 이용주민 3~10명의 모임으로 신청가능하며, 공원 내 노후 어린이놀이터를 대상으로 바꾸고 싶은 이유와 어떻게 바뀌었으면 하는 의견을 글이나 그림으로 표현하면 된다.
 ○ 대상지는 모임 구성원들이 주로 이용하는 놀이터이어야 하며, 대상지로 선정되면 구성원들은 향후 놀이터 디자인 설계 및 자율 유지관리 등 ‘어린이 놀이터 운영협의체’ 활동에 적극 참여하게 된다.

□ 응모방법은 ‘서울시 홈페이지(http://www.seoul.go.kr) 고시공고’ 또는 ‘내 손안의 서울 공모전(http://mediahub.seoul.go.kr/ gongmo2)’에서 지원양식(공모제안서)를 작성, 8월 16일(금) 18시까지 이메일(lucid@ seoul.go.kr) 또는 해당 자치구 공원녹지과(푸른도시과, 녹색도시과)에 직접 제출하면 된다.
  ○ 접수와 관련한 자세한 내용은 서울시 홈페이지나 서울시 공원녹지정책과(☎ 2133-2037) 또는 자치구 공원녹지과(푸른도시과, 녹색도시과)로 문의하면 된다.

□ 창의어린이놀이터는 2015년 29개소(1단계)를 시작으로 2019년 현재 총 91개소가 재조성되었으며, 올해에도 14개 자치구에 18개소(5단계)의 창의어린이놀이터를 조성 중에 있다.
 ○ 창의어린이놀이터는 주로 인공포장과 단순한 놀이기구를 모아놓은 기존 놀이터와 달리 아이 인지발달에 좋은 모래, 흙, 목재 등 자연재료로 만들어진 공간과 뛰어놀 수 있는 공간, 모험심을 유발하는 공간을 유기적으로 설치하여 아이 스스로 놀이를 만들어내는 기회를 제공하여 창의력과 감수성 발달에 도움을 주는 놀이터이다.
  ○ 올해 준공예정인 창의어린이놀이터 18곳 가운데 17곳은 전액 시비(50억원)를 투입해 조성중이며, 나머지 1곳(강서구 다운어린이공원)은 민간기업이 사업비를 투입하여 민관협력으로 조성중이다.

□ 아울러, 서울시는 창의어린이놀이터 아동참여사업 확대를 위하여 초록우산 어린이재단과 협력하여 놀이터 조성과정부터 유지관리까지 아동의 놀 권리 향상과 프로그램 지원을 위해 노력할 예정이다. 
 ○ 서울시와 초록우산 어린이재단은 창의어린이놀이터 조성과정에 아동참여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아동 및 부모 대상 교육 등 아동참여 사업을 지원하는 내용으로 7월 중 상호협력 협약(MOU)을 체결할 예정이다.
 ○ 또한, 올해 11월에 열리는 ‘서울시 어린이놀이터 국제심포지엄’도 서울시와 공동개최하여 아동놀이에 대한 사회적 인식 확산과 놀이터 정책 향상을 위한 지속 발전방안을 함께 모색한다.  


창의어린이놀이터 추진 내용

󰏚 2020년 창의어린이놀이터 추진계획(6단계)
 ○ 사업대상 : 자치구 공원 내 놀이터『20개소』내외(도시공원, 마을마당 등)
                     ※ 지역특성, 규모, 예산 등 현장 여건에 따라 개소수 조정
 ○ 사업기간 : 2019. 6. ∼ 2020. 10.
 ○ 사업예산 : 6,000백만원  ※ 특별조정교부금 활용
 ○ 추진방법 : 시민공모와 민·관 협업으로 이용자 및 놀이중심 놀이터 조성
   - 대상지 선정 : 시민공모를 통해 재조성대상지 선정
   - 놀이터 조성 : 시민공모 스토리텔링을 통합디자인으로 발전
   - 놀이터 관리 : 공모팀 포함 주민운영협의체 OT를 통해 자발적 관리방안 구축
    ※ 선정부터 관리까지 놀이터자문단, 총괄자문가(MA), 어린이재단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 자문
○ 추진일정

시민공모

공모 심사 및 대상지 선정

주민참여

통합디자인

디자인 자문(2)

설계자문(1)

공사시행

19. 6.~7.

19. 7.~ 8.

19. 9.~ 10.

19. 10.~ 12.

20. 1.~ 2.

20. 3.~ 10.

<6단계 신규 절차>

 

 

 

 

 

 

 

 


창의어린이놀이터 추진실적

 ○ 추진기간 : 2014. 6. ~ 2019. 10.(1~5단계)
 ○ 조성실적 : 총 109개소(91개소 완료, 18개소 조성 중)

1단계

(’14.6.~’15.10)

 

2단계

(’15.6.~’16.12)

 

3단계

(’16.6.~’17.10)

 

4단계

(’17.8.~’18.10)

 

5단계

(’18.8.~’19.10)

 

 

 

 

 

 

 

 

 

9개구 29개소

(민관협력 3개소)

일반09입니다.

13개구 20개소

(민관협력 2개소)

일반09입니다.

16개구 22개소

(민관협력 2개소)

일반09입니다.

16개구 20개소

(민관협력 2개소)

일반09입니다.

14개구 18개소

(민관협력 1개소)

놀이터 조성 방향성 정립

주민참여 시스템 구축

놀이중심 놀이터로 콘셉트 변화

놀이터별 MA 자문운영 도입

창의어린이놀이터 가이드라인 적용

사후평가로 질적 수준 향상

한단계 도약을 위한 필요성 인식

놀이에 대한 인식변화 확산

누구나 놀이에 참여할 수 있는 통합의 가치 반영


2019년 창의어린이놀이터 준공예정지

 ○ 총 18개소(5단계) : 자치구 17개소(시비 50억), 민관협력 1개소(민간 전액 부담)

연번

자치구

놀이터명

위 치

재조성 면적()

1

성동구

사근어린이공원

사근동 291-10

496

2

광진구

자마장어린이공원

자양동 630

800

3

동대문구

미나리어린이공원

장안동 449

1,000

4

강북구

푸른어린이공원

수유동 516-44

600

5

수유일공원

미아동 222-20

900

6

도봉구

무지개어린이공원

도봉동 570-13

800

7

은평구

포수동어린이공원

응암동 115-25

800

8

마포구

양화어린이공원

합정동 394-1

1,200

9

양천구

하늘마루어린이공원

신정31316-2

900

10

신세계어린이공원

신정2119-3

900

11

강서구

안골어린이공원

화곡8155-1

1,500

12

다운어린이공원

(민관협력)

화곡동 346-26

1,000

13

구로구

고척근린공원

고척동 164-129

1,500

14

금천구

삼성체육공원

시흥4171-1

1,200

15

영등포구

영일어린이공원

영등포동 647-3

900

16

동작구

까치어린이공원

사당동 1028-1

1,500

17

새벽어린이공원

상도동 335-141

496

18

강동구

방아다리어린이공원

명일동 236

1,500

[출처]서울시
http://mediahub.seoul.go.kr/archives/1242848?tr_code=snews
http://spp.seoul.go.kr/main/news/news_report.jsp#view/292746?tr_code=snews

사업자 정보 표시
한국보육교사교육원 | 곽상일 | 서울특별시 구로구 디지털로30길 28 1406~1407호 (구로동 마리오타워) | 사업자 등록번호 : 113-86-81322 | TEL : 02-1800-9337 | 통신판매신고번호 : 원격평생교육시설신고 제 원-383호호 | 사이버몰의 이용약관 바로가기